언어변화는 서서히 일어나기도 하지만 가까이 체감되는 때도 있다. '길고양이'가 그런 사례 중의 하나다.>>韩语学习咨询
语言在时间长河中悄然发生改变,但是有时候我们能近距离感知到到这种变化的发生。“길고양이(流浪猫)”就是一个很好的例子。
'길고양이'는 비교적 최근인 2000년 무렵부터 인터넷 카페 글에서 등장하기 시작한 새로운 말이다. 보통 새로 만들어진 말들은 유행어처럼 사용되다가 사라지는 경우가 많아 '길고양이'처럼 일상생활에서 빈번하게 사용되어 단어로 정착하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.
这个词是2000年左右在贴吧出现的一个新词。其实,很多网络新词在流行一段时间后都会慢慢消失,像“길고양이(流浪猫)”这种能够入典的情况非常少。
작년에는 '길고양이'의 쓰임을 인정하여 '표준국어대사전'에 실었다. 동시에 기존 표제어인 '도둑고양이'는 '길고양이를 낮잡아 이르는 말'이란 뜻을 더해 수정됐다.
去年,“길고양이(流浪猫)”被收录进《标准国语大辞典》,并将原来用来指代流浪猫的“도둑고양”的释义改为了“‘길고양이(流浪猫)’的鄙称”。
서서히【副词】慢慢 ,徐徐
빈번하다【形容词】频繁 ,频频
정착하다【自动词】(新的文化现象、学说等)扎根 ,形成
싣다【他动词】发表 ,收录
'길고양이'의 출현 전까지는 '길'은 '길짐승'이란 단어를 제외하고 특정 동물과 어울려 단어를 만들지는 않았다.
其实在“길고양이”这个词汇出现之前,除了“길짐승(走兽)”外,没有一个单词是“길”加上动物名称的。
'들소, 들고양이, 들개, 산토끼, 산비둘기'와 '집소, 집고양이, 집개, 집토끼, 집비둘기'처럼 '들, 산, 집'과 어울려 단어를 만들고 구별하였다.
像“들소(野牛)”、“들고양이(野猫)”、“들개(野狗)”、“산토끼(野兔)”、“산비둘기(野鸽)”和“집소(家牛)”、“, 집고양이(家猫)”、“, 집개(家狗)”、“집토끼(家兔)”、“집비둘기(家鸽)”都是用“들(野)”、“산(山)”、“집(家)”这种前缀来区分的。
'길고양이'라는 단어가 생기면서 '길'이 여러 동물에 어울려 사용되는 것을 목격할 수 있다.
但随着“길고양이”这个词的出现,好多种动物名称前也都加上了“길(路)”。
들-【前缀】野 ,野生
산-【前缀】山 ,野
동물 '개'가 '길'과 어울릴 적에는 '길개'가 되어야 하지만 현실에서는 '길강아지'를 사용한다는 점이 흥미롭다. 반려동물로 집에서 기르는 '개'는 보통은 식구처럼 생각하여 강아지로 지칭되는 경우가 많다 보니 '강아지'와 연결 지은 '길강아지'와 같은 단어를 만들어 낸 것으로 보인다.
很有趣的一点是,“길(路)”加上“개(狗)”本来应该是“길개”,但是人们却用的是“길강아지(流浪狗)”。因为大家都是把宠物犬当做家人在养,所以更习惯说“강아지(小狗)”。这才有了“길강아지(流浪狗)”这个词。
'길까치, 길비둘기, 길사슴, 길너구리' 등처럼 야생에 가까운 동물에도 쓰임은 적지만 '길'이 어울린 단어가 포착된다.
在野外生存的动物不太会加上“길(路)”这个前缀,但是也有些例外的情况,比如“까치(流浪喜鹊)”、“비둘기(流浪鸽)”、“사슴(流浪鹿)”和“너구리(流浪狐狸)”。
길에 보이고 사는 동물들에게 '길'을 붙여 새로운 단어들을 만들어 내는 것은 사람과 동물이 공존하는 방법을 찾는 과정에서 생긴 언어변화의 결과로 여겨진다.
笔者认为,人们会给流落在街头的动物们加上“길(路)”这个前缀的行为,是他们在寻求与动物共存的过程中发生的一种语言变化。
今日词汇
서서히【副词】慢慢 ,徐徐
빈번하다【形容词】频繁 ,频频
정착하다【自动词】(新的文化现象、学说等)扎根 ,形成
싣다【他动词】发表 ,收录
들-【前缀】野 ,野生
산-【前缀】山 ,野
今日语法
-다가
用于中断了一直持续着的某一行动,而做另一行动的时候。
밥을 먹다가전화를 받았어요.
正吃着饭呢,接了一个电话。
만화책을 읽다가친구하고 같이 외출했어요.
看了漫画书,然后和朋友一起出去了。